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네트워크 기초 4장(스위치 초보 입문)

Network

by choiDev 2019. 1. 1. 19:42

본문


4-1 스위치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 스위치 중요한 2가지

 각 기기의 역할

 기기의 설정.

 참조!!! Configuration값이 무엇을 의미,

어떤 동작을 하는지 네트워크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이해

- 각 기기의 역할을 이해한다.

 각 기기의 역할을 알아 두고 네트워크 전체에 있어서 해당 기기의 존재 이유를 알아야 한다.

- 기기 설정에 대하여 이해한다.

 기기 설정시 필요한 2가지

 설정 방법

 일단, 설계된 Configuration을 기기에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 설정 방법은 벤더마다 다르다.

 경우에 따라 벤더가 같더라도 기종마다 다를 수 있다.

 Configuration 내용의 이해

 설정 방법은 기기 별로 다르지만, 설정 내용 자체에 크게 틀린 점은 없다.

.

4-2 리피터 허브와 브릿지

- 스위치란 무엇일까?

 네트워크 중심 역할을 하는 기기

- 스위치의 조상은?

 리피터 허브와, 브릿지

- 최근 기업 네트워크는?

 1990년대 까지는 라우터 였지만 2000년대 이후로는 스위치가 중심이 되었다.

 리피터 허브도 스위치로 바뀌었다.

 스위치 가격이 저렴해졌기 때문이다.

- 리피터 허브란?

 PC나 네트워크 기기등의 단말에서 LAN 케이블을 꽂고 통신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기기이다.

 리피터 허브는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규칙으로 CSMA/CD방식을 채택하였다.

- CSMA/CD방식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 먼저 데이터를 기다린다 – CS(Carrier Sense)

 송신 데이터를 기다리는 단말은 전송로를 다른 단말이 사용하고 있지 않은가를 확인한다.

 전송로에 접속된 모든 단말은 항상 전송로 상의 모든 신호를 듣고, 보고 있으므로

전송로가 비어있는지 알 수 있다.

 누구라도 송신할 수 있다. –MA(Multiple Access)

 데이터를 송신하고 싶은 단말은 CS에서 다른 단말이 통신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면

언제든 송신 가능하다.

 데이터를 송신하고 싶은 모든 단말에 송신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이것을

Multiple Access라고 부른다.

 충돌을 검출한다 – CD(Collision Detection)

 거의 같은 시간 여러대의 단말에서 액세스를 시작했을 경우, 전송상에서

데이터의 충돌(Collision)이 발생한다.

 Collision을 검출하면 정상적인 정보를 다시 보내야만 한다.

 이 Collision을 검출하는 구조를 CD(Collision Detection)이라고 한다.

- 콜리전 도메인 (Collision Domain)

 CSMA/CD 방식에 있어서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는 범위를 Collision Domain이라고 부른다.

 Collision Domain(데이터 손실 발생 범위)에서는 한번에 1:1단말밖에 통신할 수 없다.

 이 방식은 전송로를 쟁탈하는 방식으로 상대가 적으면 적을수록 송신하기 쉬워진다.

 옛날에는 LAN상에 많은 단말이 없었기에 CSMA/CD 방식도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수년 사이 네트워크 환경이 크게 변화하여 지금은 LAN상에 PC나 프린트, FAX까지

연결된다.

사용자가 다루는 데이터 양도 점점 늘어났고 고해상도 이미지, 애플리케이션 용량도 무거워진다.

 CSMA/CD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을 중계하는 리피터 허브로서는 더 이상 네트워크 환경의

요구사항을 맞출 수 없게 되었다.

 Collision Domain의 문제

 하나의 콜리전 도메인 안에 여러 대의 단말이 존재하고있다.

 해결 방법은?

 콜리전 도메인을 작게 나누는 것인데 이것은 스위치나 브릿지라면 구현할 수 있다.

- 콜리전 도메인을 분할할 수 있는 브릿지

 콜리전 도메인을 분할하는 네트워크 기기는 2가지 (스위치, 브릿지)

 브릿지, 스위치 2기기 모두 OSI 기본 참조 모델의 Data link계층에 위치

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비이다.

- 콜리전 도메인을 분할하는 열쇠? -> 브릿지의 필터링 기능

 필터링은?

 프레임 내의 MAC주소를 평가하여 그 프레임을 브릿지를 통해 중계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 네트워크 간 필요 없는 데이터 송신을 억제, 결과적으로는 콜리전 발생을 방지한다.

 여기서 잠깐!!!!!

 리피터 허브는 제2계층의 정보를 보지 않고 제1계층의 신호를 중계합니다.

- 필터링 기능의 구조

 브릿지는 장치 내부 MAC 주소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 이것을 참조하여 필터링 처리를 실시

 MAC 주소 테이블에는 수신된 프레임 안에 송신측의 MAC주소와 수신 포트를 할당시킨 정보를 자동으로 학습한다.

 또 관리자가 수동으로 MAC주소와 포트정보를 등록 할 수 있다.

- 필터링 기능의 역할 2가지

 네트워크를 넘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 브릿지는 프레임 수신시 MAC 주소 테이블을 참조한다.

 수신 프레임 중 목적지 MAC주소가 그 프레임을 수신한 포트 자체에 할당되어 등록을 마쳤다면

그 프레임을 다른 포트에서 송출해도 의미가 없다.

그래서 네트워크를 넘어가지 못하도록 프레임을 파기한다.

 트래픽을 정리하고 LAN의 중계 역할을 한다.

 브릿지는 프레임 중 목적지 MAC 주소가 수신 포트 이외의 특정 포트에 할당되어 등록되있다면

프레임을 해당 특정 포트에서만 송출한다. 즉, 트래픽(데이터 흐름양)을 정리하고 LAN의 중계 역할을 한다.

Network 4-2 최종정리

-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따라 CSMA/CD 방식에 의한 데이터 충돌(Collision)문제가 커져

리피터 허브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 Collision Domain을 분할한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치와 브릿지가 있다.

- Collision Domain의 문제는 프레임 안에 목적지 MAC 주소와 브릿지(또는 스위치)가 가진

MAC 주소 테이블을 확인하는 필터링 처리로 해결된다.

4-3 먼저 스위치의 기본을 이해하자

- 리피터 허브와 스위치의 차이

 리피터 허브는 장비 자체가 콜리전 도메인

 리피터는 가지고 있는 모든 포트에게 데이터를 보낸다.

 콜리전 도메인 내에서는 한 번에 1:1 통신밖에 할 수 없다. 매우 비효율

 브릿지나 스위치는 각 포트가 콜리전 도메인

 장치 내부에 MAC주소 테이블을 가지고 필터링 처리가능

 프레임은 필터링 기능에 의해 학습된 MAC주소로 특정 포트에만 송신되고,

다른 포트에 영향을 주진 않는다.

- 브릿지에서 스위치로

 제 2계층에 해당되는 네트워크 기기는 브릿지->스위치로 전향했다

 큰 이유는 성능차이

 브릿지는?

 프레임 분석과, 전송 처리를 소프트웨어에서 한다.

 PC등 사용되는 CPU 칩셋인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스로 프레임을 처리한다.

 스위치는?

 하드웨어에서 처리한다.

 전용 칩인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로 프레임처리

 !!!주요 구분사항 브릿지는 소프트웨어처리, 스위치는 하드웨어처리!

- 이것만은 기억하자! 스위치의 포인트

 스위치는 OSI 기본 참조 모델의 제 2계층에 해당되는 중계기

 스위치는 단말을 수용하고, 단말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장치

 스위치는 OSI 기본 참조 모델 제2계층 레벨까지 중계 역할을 하므로 L2스위치라고 한다.

 송신한 프레임을 받으면 그 프레임에 쓰여있는 목적지(MAC주소)를 조사 후 목적지가 접속되어

있는 포트에만 프레임을 전송한다.

 이로 인해 네트워크 내부에 불필요한 트래픽이 흐르지 못하도록 하여 통신효율을 향상시킨다.

- L2스위치의 특징

 연결된 단말의 MAC주소나 접속 포트등 정보를 자동적으로 학습 후 MAC Address Table에 저장

 스위치는 동시에 여러 포트간의 통신을 할 수 있다.

- 스위치의 MAC 주소 테이블 구조

포트번호 MAC 주소

1 1234:ABCD:AAAA

2 1234:ABCD:BBBB

3 1234:ABCD:CCCC

- 스위치의 사용 예

 포트별로 콜리전 도메인을 분할 한다.

- 초기의 스위치는 장치 자체가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 L2 스위치는 MAC 주소 테이블을 참조하여 프레임의 목적지 포트를 결정하지만

목적지 MAC 주소가 브로드캐스트 주소(FFFF:FFFF:FFFF)로 되어 있는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에

대해서는 모든 포트로 전송한다.

 즉! 스위치 전체가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 그러나 지금의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네트워크별로 존재하는 단말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어떤 프레임이든 연속적으로 보내버리는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은 제어하기 힘든 존재다.

브로드캐스트가 전달되는 범위에서 어떻게든 적절히 제한하려는 것이다.

때문에 VLAN이라는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스위치 하나로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여러 개로 분할

할수 있다. 기업용 스위치는 이 VLAN기능을 가지고있다.

- MAC 주소의 학습 프로세스

1. 스위치를 막 가동한 직후에는 MAC주소 테이블에 주소가 등록되지 않는다.

2. 데이터가 들어오면 프레임의 출발지 MAC주소가 MAC주소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

3. 등록되지 않았다면 출발지 MAC주소와 포트를 MAC주소 테이블에 등록한다.

4. 계속해서 프레임의 목적지 MAC 주소가 MAC 주소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5.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출발지 포트 이외의 모든 포트에 프레임을 보낸다.(브로드캐스트)

6. 등록되어 있다면 해당 포트에만 프레임을 보낸다.

Network 4-3 최종정리

- 리피터 허브는 장치 자체가 콜리전 도메인이지만, 브릿지나 스위치는 각 포트가 콜리전 도메인이다.

- 브릿지는 프레임의 분석과 전송 처리를 소프트웨어에서 하지만, 스위치에서는 하드웨어에서 처리한다.

하드웨어로 처리하기 때문에 고속의 데이터 분석과 전송 처리가 가능하여 지금은 대부분

스위치를 사용하게 되었다.

- 스위치는 OSI 기본 참조 모델 2계층에 해당되는 중계기다. 이것을 L2스위치라고 부른다.

- L2 스위치는 MAC 주소 테이블을 참조하여 프레임의 목적지 포트를 결정하지만, 목적지 MAC

주소가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되어있는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에 대해서는 모든 포트에 전송하게 된다. 단, VLAN기능이 있다면 이것을 조정할 수 있다.

- 스위치는 접속되어있는 단말의 MAC 주소를 자동으로 학습하고 MAC 주소 테이블에 등록한다.

네트워크 관리자가 수동으로도 등록할 수도 있다.

4-4 조직 분리- 당신이라면 어떻게 처리할까?(VLAN)

- VLAN과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 VLAN

 하나의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복수의 논리적 네트워크로 분할하는 기술’

 VLAN을 사용하면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을 분할 가능하다

 L2 스위치에서는 모든 포트가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에 속한다

 VLAN은 부서별로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분리하는 것으로 같은 부서 간 통신은 라우터를 통하게 되어 보안이 강화 된다. 또한 브로드캐스트도 부서별로 제한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회선 비용을 줄이는 장점도 지녔다..

 VLAN의 이점 3가지

 네트워크 구성을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 조직에 맞춰 네트워크 분할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 브로드캐스트에 의한 네트워크 회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 포트VLAN (고정 VLAN)

 각각 포트를 어떤 VLAN에 포함시킬지를 고정적으로 설정하는 것

 1개의 VLAN을 여러 포트에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 동적 VLAN

 스위치 포트에 접속한 호스트의 정보를 보고 포트가 속해있는 VLAN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

 벤더 독자적 기술로 구현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다른 벤더와의 상호 접속성은 가지고 있지 않다.

 트렁크 링크

 하나의 케이블에 여러 VLAN 프레임을 통과시키는 트렁크 링크 기능

 여러 VLAN의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스위치간 접속 전용 링크를 말한다.

 1층과 3층 스위치 각각 맨 우측 포트를 설정하여 포트를 묶는 케이블이 트렁크 링크가 된다.

 트렁크 링크에서는 링크 하나에 여러 VLAN의 프레임을 통과시키기 위해 각 프레임이 어느 VLAN에서 보내졌는지를 어떤 방법을 통해 구별해야만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상대 스위치에 어떤 포트로 프레임을 전송해야 하는지 알 수 없다.)

 그를 위해 트렁크 링크를 통과시키는 프레임에는 해당 프레임이 속해있는 VLAN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들어있다. 이것이 바로 태그이다.

 VLAN식별정보를 첨가하기 위한 방법2가지

 ISL(Inter-switch Link)과 IEEE802.1Q

 둘 다 트렁크 링크에 프레임을 통과시킬 때 각 프레임에 식별 정보를 첨가하고, 프레임이 트렁크 링크에서 나올 때 식별정보를 제거한다.

 IEEE802.1Q는 업계의 표준 프로토콜 이며 안심하며 쓸 수 있다.

 ISL은 CISCO에서 만든 프로토콜이며 새로운 모델이 나왔을 때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

 VLAN간의 통신

 이외에도 해결한 문제 ‘다른 VLAN 호스트간의 통신’이 있다.

 같은 VLAN에 속한 단말은 각각 트렁크 링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 다른 VLAN 간의 단말이랑은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 분할되어 있기에 통신이 불가능하다.

 속해 있는 VLAN으로 다른 호스트끼리 통신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라우팅 기능을 가진 장치가 필요하다. 즉, 라우터나 L3스위치가 필요한 것이다.

Network 최종정리

- VLAN이란, 하나의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복수의 논리적 네트워크로 분할하는 기술이다.

- VLAN의 이점으로는 다음 3가지

 네트워크 구성을 간단히 변경 가능

 조직에 맞춰 네트워크 분할하여 보안 강화 가능

 VLAN의 종류에는 스위치 포트와 VLAN을 대응시킨 포트 VLAN(고정 VLAN)

스위치의 포트에 접속한 호스트 정보를 보고 소속된 VLAN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동적 VLAN이있다.

 트렁크 링크를 사용해 이더넷 프레임에 붙여 하나의 케이블에 여러 VLAN프레임을 묶어서 통신할 수 있다.

 트렁크 링크의 VLAN 식별 정보(태그)를 첨가하는 방법으로는 ISL(Inter-switch Link)와 IEEE802.1Q

2가지 규격이 있다.

 소속 VLAN이 다른 호스트 간 통신을 위해 라우터나 L3스위치로 라우팅 해야한다.

4-5 여러 가지 스위치 종류

- IP의 개념이 들어 있는 L3 스위치

 L3스위치의 구조

 L2스위치 + 라우터 = L3스위치

 VLAN에 IP 주소를 할당하고 라우팅할 수 있다.

 전용칩(ASIC)로 하드웨어 처리가 이루어져 기존 라우터보다 빠른 패킷 전송이 가능하다.

 L3스위치의 특징

 VLAN간의 통신이 가능하다

 VLAN기능을 사용한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분할하면서 IP기능을 이용한 라우팅 역할도 담당한다.

 스위치가 보유한 여러 포트를 그룹화하고 논리 인터페이스로 IP 주소를 할당 할 수 있다.

 예) 스위치 1~10포트는 172.16.10.10을 보유한 VLN10에 추가한다. 가 가능하다.

 기존 라우터에서는 하나의 물리 인터페이스(포트)에 대해 하나의 IP주소를 가진다.

 IP 패킷 전송을 하드웨어로 한다.

- 네트워크 부하를 분산하는 로드 밸런서(L4~L7 스위치)

 예) 최신 웹 서버에서 응답 속도가 느려졌다. 이 경우 원인은 2가지

 네트워크 인프라 전체에 발생한 문제인가?

 웹 서버 자체의 문제인가?

- 네트워크 인프라 전체에 발생한 문제인가?

 이것은 Layer1~Layer3 에서 발생한 문제다.

 네트워크 이용자가 늘어나 헤비 유저의 데이터 대량 전송으로 인한 IP네트워크망의 폭주를 의심할 수 있다.

 예전에는 WAN회선이 부족해 저속WAN회선을 많이 사용했지만 현재는 WAN회선도 저렴하고

보급이 쉬워져 하위 레이어의 ‘네트워크 인프라 전체에 발생한 문제’는 현재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점점 해소되어 가고 있다.

- 웹 서버 자체의 문제인가?

 Web이 발전되어 web서버의 부하가 많아져 응답 속도가 나빠지는 경우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 즉 웹 서버 자체의 문제가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 이것은 IP 인프라 보완이 아닌 실제 사용자가 사용하는 계층인 Layer4이상의 보완이 필요하다

 구체적인 처리 방법 2가지

 웹 서버 자체를 높은 성능의 시스템으로 교체

 로드 밸런서(부하분산) 기술을 도입한다

 대표적 장치로는 L4~L7 스위치가 있다. 현장에서는 로드 밸런서 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 로드 밸런서 기능

 대표적 기능 2가지

 부하분산 기능

 기본은 서버에 대한 부하분산이다. 로드 밸런서는 여러 대의 서버를 대표하는 가상적인 서버가 되어 사용자로부터의 액세스에 대해 적절한 서버로 요청을 분배한다. 

 상태 확인 기능

 또한, 서버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대상 서버가 정지되는 장애가 발생하면, 그 서버에는 액세스하지 못하도록 전송을 중지하여 장애 영향을 경감하는 기능(상태 확인기능)도 있다.

 또한 로드 밸런서는 다음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 세션 유지기능

 웹 사이트 세션 데이터를 유지 시키는 기능

 발신 IP주소, 쿠키정보, URL내에 들어 있는 세션ID, HTTP헤더등을 유지시킨다

- 참고로 최근 L4~L7 스위치는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높이는 기능, 원격접속기능을 가진것도 있다.

- 구체적으로는 웹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대해 실시간으로 압축을 하거나, TCP프로토콜 최적화를 통한 네트워크 전체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Network 4-5 최종정리

- 스위치는 Osi 기본 참조 모델 7계층에 속함에 따라 L2~L7스위치가 있다.

- L3스위치는 L2스위치에 라우터 기능을 추가한 것

- L3스위치의 특징

 VLAN간 통신이 가능하다 (라우팅 기능가능)

 IP 패킷 전송을 하드웨어로 처리한다 (라우터보다 빠름)

 웹 서버 응답속도가 느려졌다는 2가지 원인을 생각할 수 있다.

 네트워크 인프라 전체에 발생한 문제인가?

 웹 서버 자체의 문제인가?

 L4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레벨 보완에 사용되는 기기가 L4~L7스위치 이다.

4-6 이중화로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높인다.

- 이중화를 하는 이유는?

 중/대규모 거점의 LAN에서는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도가 크다

 그래서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다.

 서비스를 정지할 수 없는 경우는 반드시 네트워크 신뢰성을 고려한 구성으로 만들어야 한다.

 그래서!! 중/대규모 거점은 네트워크 이중화를 한다.

- 네트워크 이중화란?

 장애 방생시 준비된 예비 회선이나 장치 본체를 사용한 구성

- 스위치 본체의 이중화

 운용하는 스위치 이외에 예비 스위치를 준비해 두는 운용 방법을 말한다.

 장치 뿐만 아니라 배선도 예비로 구성하여 만든다.

- 스위치 본체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 본체 장애시 자동으로 예비 스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 사용자는 백업 경로를 통해 우회하여 통신하며, 운용에 지장 없이

연속적 통신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 신뢰성을 중요시하는 구성에서는 이상적 구성이다. 그러나 도입기기도 늘어나게 되면 운용도 복잡하다는 단점도 있다.

- 스위치 포트나 LAN 배선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 장애 발생시 예비 통신 경로로 자동 변경된다.

 스위치 본체 장애가 발생했을 때와 같이 백업경로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 이중화를 실현하는 기술

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panning Tree Protocol 이하 STP)이다.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은 스위치 본체 또는 스위치 간 링크 장애에 대해 이중화를 할 때 사용된다.

 IEEE802.1D로 표준화되어 있다.

 이중 경로에 따른 루프를 발견하여 루프 상태가 되지 않도록 특정 포트를 막아(프레임 전송금지) 트리상태의 네트워크를 만든다.

 그 후에 스위치 간 통신은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라고 불리는 제어 정보를 주고 받아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감시한다. 그리고 장애가 검출되면 스패닝 트리를 재형성하고 새로운 통신 경로가 확립된다.

- 만약 Spanning Tree Protocol이 동작하지 않게 된다면?

 네트워크 기기나 우회를 확보한다 해도 네트워크가 Looping상태에 빠져 데이터가 전송되지 못하고 빙글빙글 돌게 된다.

 Looping 발생시 해당 프레임의 통신만으로 네트워크 상의 대역을 사용하게 되어 다른 통신에 영향을 주게 된다.

 이런 상황을 방지하고자 Spanning Tree Protocol을 사용한다.

- 스위치 단일 구성

 이중화에 비해 저렴하다, 신뢰성은 떨어진다.

 스위치 단일 구성은 스위치본체, LAN배선, 포트 3가지중 장애가 발생하면

외부와 지역간 통신을 할 수 없게된다.

 그렇다면 통신이 가능한 것은 LAN범위에 한정된다.

- Spanning tree Protocol을 사용하지 않는 이중화 방법이 메인

 Spanning Tree Protocol의 문제점 2가지

 대역의 반은 낭비된다.

 Spanning Tree Protocol로 막혀진 포트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어 대역이 낭비된다.

 설계나 운용이 복잡하고 손이 많이 간다.

 장애 발생시 경로변경이 자동이지만 관리자가 예측하여 사전에 네트워크 전체를 고려한

설계를 해야만 한다.

 네트워크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설계는 복잡해지기 때문에 고도의 설계 기술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면 관리자가 될 수 없다.

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스택접속 + 링크어그리게이션’이다

 스택접속

 여러대의 스위치를 논리적으로 한 대의 장치로서 인식하는 기능을 말한다.

 이 기능으로 이중화되어 있는 어떤 스위치든지 활성화된 스위치로 운용할수 있고,

컨피그레이션(환경설정) 또한 자동으로 동기화 된다

 링크 어그리게이션(Link Aggregtion)

 여러 회선을 묶어 하나의 링크(대역)로 만드는 방법

 이중화를 구성하면서 상위 스위치와 연결되는 여러 회선의 대역을 낭비 없이 사용가능

Network 4-6 최종정리

- 중/대규모 거점의 LAN에서는 네트워크 신뢰성을 높이는 일이 가장 중요한 과제다. 그 때문에 스위치 본체 및 각 지역 스위치로의 건물 내 LAN배선을 이중화하여 장애에 대비할 수 있다.

- 최근 기업 네트워크에서는 ‘스택 접속 + 링크 어그리게이션’의 이중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