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iDev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choiDev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자바
  • 자바로 푼 알고리즘
  • 안드로이드
  • 네트워크
  • 컴퓨터 구조
  • 책 리뷰
  • 재테크
  • 취미 회계
  • 개발자의 여행 방식
  • 글 쓰기
  • 분류 전체보기 (170)
    • 스타트업 회고 (0)
    • Network (20)
    • Programming language (29)
      • C 언어 (0)
      • 자바 (12)
      • Kotlin (17)
    • Algorithm (36)
    • Data Structure (10)
    • Android (36)
      • 안드로이드 (Realm) (0)
      • RxJava (0)
    • Backend (18)
    • React (2)
    • IT에 대해 (9)
    • 앱 or 서비스 리뷰 (0)
    • Slack (1)
    • GIT (1)
    • Database (1)
      • MySql (1)

검색 레이어

choiDev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TDD] Spock이란? [1/3]

    2023.12.29 by choiDev

  • [JPA&Hibernate] 지연로딩을 가능하게 하는 Proxy란?

    2023.12.28 by choiDev

  • [스프링] Hibernate DDL AUTO 주의할점(단점)

    2023.12.24 by choiDev

  • [Spring] Hibernate.cfx.xml이란

    2023.12.23 by choiDev

  • [SpringBoot] JPA (Java Persistence API)란?

    2023.12.21 by choiDev

  • [Spring] ORM(Object Relational Mapping)란?

    2023.12.21 by choiDev

  • [Spring Boot]MVC 와 MVC2 패턴이란?

    2023.12.19 by choiDev

  • [React] Font적용하기

    2023.12.11 by choiDev

[TDD] Spock이란? [1/3]

Spock은 BDD(Behavior Driven Development)를 위한 테스팅 프레임워크이며 Groovy 언어를 사용합니다. Groovy언어란? 1. 자바에 파이썬, 루비, 스몰토크 등의 특징을 더한 동적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2. 자바 가상 머신에서 동작합니다. 3. 자바 프로그래머들이 큰 학습 없이도 빠르게 습득이 가능합니다. 4. 메타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자기 자신 혹은 다른컴퓨터 프로그램을 데이터로 취급하며 프로그램을 작성 수정하는 행위) 즉 런타임에 수행해야할 작업의 일부를 컴파일 타임 동안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말하기도 함 5. 자바에서 지원하는 리스트 맵 정규식을 위한 구문등도 제공해 자바와 언어 구조가 흡사하다 6. 자바 소스는 컴파일 이후 사용 가능하지만 그루비 소스는 스..

Backend 2023. 12. 29. 00:57

[JPA&Hibernate] 지연로딩을 가능하게 하는 Proxy란?

JPA Proxy란? JPA의 ORM 기술중 하나로 Proxy는 Entity를 대행하는 클래스(객체)를 뜻합니다. Proxy는 Entity를 상속받아 런타임에 생성되는 클래스로 지연 로딩(Lazy Loading)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Entity public class Order { @Column(name = "product") private String product; //fetch 속성이 LAZY인경우 Order를 호출할때 customer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customer는 지연로딩이 되어 실제 사용시점에 호출됩니다.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private Customer customer; } 지연로딩(Lazy Loading)이란? 특정 엔티티를 로..

Backend 2023. 12. 28. 00:46

[스프링] Hibernate DDL AUTO 주의할점(단점)

Hibernate의 hibernate.hbm2ddl.auto 속성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자동으로 생성, 갱신 또는 유지보수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속성은 개발 및 테스트 단계에서 편하게 사용 가능하지만,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주의해야 합니다. 용어사전 DDL(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정의어라고 부르며 데이터를 생성, 수정, 삭제등 데이터의 전체 골격을 결정하는 역할의 언어이다. DDL auto 왜 주의해야되는 걸까? 데이터 손실의 위험: DDL 자동 생성이 활성화되면 Hibernate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합니다. 이는 기존 테이블을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덕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하면 의도치 못한 CRUD가 벌어저 큰 장애를 초래 할..

Backend 2023. 12. 24. 10:55

[Spring] Hibernate.cfx.xml이란

Hibernate.cfg.xml은? XML형식의 설정 파일로, Hibernate에서 사용되는 설정을 정의하는 파일입니다. Hiberrnate 구성을 자세하게 제어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 Hibernate의 동작 방식에 대한 설정, 매핑 정보등을 정의 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예시를 볼수있습니다. com.mysql.cj.jdbc.Driver jdbc:mysql://localhost:3306/your_database your_username your_password org.hibernate.dialect.MySQLDialect 5 20 300 50 3000 true true update cohttp://m.mysql.cj.jdbc.Driver Hibernate에서 사용하는 J..

Backend 2023. 12. 23. 19:23

[SpringBoot] JPA (Java Persistence API)란?

JPA란? Java 진영에서 ORM(Object-Relational Mapping)기술 표준으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모음 JPA는 인터페이스이기에 Hibernate, OpenJPA 같은 구현체가 따로 있고 구현체의 예시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Hibernate: JPA를 구현한 가장 대표적인 프레임 워크이며 Hibernate는 초기부터 JPA를 지원하고, 강력한 기능과 넓은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어 많은 개발자들이 선호하는 ORM 프레임워크입니다. 물론 최근에는 NoSql쪽도 지원을 넓히고 있습니다. EclipseLink : JPA의 창시자중 하나인 Oracle에서 만든 오픈소스 ORM 프레임 워크이며, EclipseLink는 고성능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DataNucleus: JPA를 지원하는 오픈소..

Backend 2023. 12. 21. 00:48

[Spring] ORM(Object Relational Mapping)란?

ORM이란? 1.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핑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이다 2. SQL문을 직접 작성하는것이아니라 Entity 클래스나 Repository 클래스등을 활용하여 RDB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3. 객체지향적 언어로 개발 하는 개발자가 DB의 데이터를 다룰때마다 프로그래밍 코드로 RDB를 간편하게 조회하는 방식이다. ORM의 장점 1. 객체 지향적인 코드 작성 가능 > ORM방식을 사용하면 개발자는 객체 지향적 코드로 쿼리를 사용가능하며 데이터베이스 접근이나 쿼리 작성의 복잡성이 줄어듭니다. 2. 생산성 향상 > ORM은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 및 사용을 추상화 하고 자동화 해주기에 개발자는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위한 별도의 코드나 SQL 쿼리를 작성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Backend 2023. 12. 21. 00:12

[Spring Boot]MVC 와 MVC2 패턴이란?

MVC란? MVC(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이다. Model >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합니다. > 데이터의 상태와 조작의 책임을 가지며, 데이터의 변경이 발생 시 View와 Controller에게 통지합니다. > Spring Boot에서 Model은 POJO(Plain Old Java Object)나 JPA(Entity)와 같은 객체를 사용하여 표현됩니다. > Model을 만들기 위해 작업하는 영역을 Service layer라고 하며, 요청사항을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처리하는것을 비즈니스 로직(Business Logic)이라한다. View >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부분을 담당합니다. > Model이 건네준 데이터를 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 Spr..

Backend 2023. 12. 19. 23:50

[React] Font적용하기

목차 Font의 종류 Custom Font 적용하는 방법 상업적으로 쓰고싶은 폰트 어디서 구하면 좋을까요? 1. Font의 종류 TTF (True Type Font) OTF (Open Type Font) WOFF (Web Open Font Format) TTF (True Type Font) 1980년대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이 어도비에 대항하기 위해 만든 글꼴 저장 형식. 한때 비트맵을 대체하여 Windows 글꼴이 대부분 이 형식이었으나 지금은 레거시 기술이 됨,최신 Windows의 기본 글꼴은 대부분 OTF로 대체 됨.제어점이 3개인 2차 베지에 곡선(Quadratic Bezier)을 사용함.비슷한 글꼴 형식으로 OTF가 있다. 이쪽은 4개의 제어점을 기반으로 하는 3차 베지에 곡선(Cubic Bezi..

React 2023. 12. 11. 16:1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 22
다음
TISTORY
choiDev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